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 앱 출범, 시민 편의 대폭 향상

Last Updated :
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 앱 출범, 시민 편의 대폭 향상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 10월부터 하나의 앱으로 통합 운영

서울시는 오는 10월 말부터 비대면 공공서비스 플랫폼인 ‘서울지갑’과 공공시설 모바일 회원증 ‘서울시민카드’를 하나의 앱으로 통합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은 시민들이 스마트폰 하나로 증명서 발급부터 공공시설 이용까지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합 앱으로 누리는 다양한 혜택과 편리함

주말 아침, 서울의 한 가족은 통합 앱에 등록된 다둥이카드를 활성화해 뚝섬한강공원 수영장 입장료와 주차요금을 50% 할인받았다. 이어 동네 도서관에서 앱을 통해 책을 대출하고, 저녁에는 체육시설에서 앱 태그로 운동을 즐겼다. 이처럼 통합 앱은 시민들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이용을 한층 편리하게 만든다.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의 주요 기능

‘서울지갑’은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34종의 증명서 발급과 청년 월세 등 복지서비스 신청 자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앱이다. 다둥이행복카드, 임산부카드 등 모바일카드 등록 및 사용도 가능하며, 부동산 거래 사기 방지를 위한 공인중개사 자격 확인 서비스도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현재 누적 가입자는 15만 명에 이른다.

‘서울시민카드’는 시립·구립 도서관, 체육시설, 청소년센터, 장난감도서관 등 837개 공공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통합회원카드로, 34만 명의 시민이 이용 중이다.

맞춤형 정보 제공 ‘나의서울+’ 서비스 도입

통합 앱에는 ‘나의서울+’라는 맞춤형 혜택 기능이 추가된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면 생애주기별 필요한 정보를 자동 안내한다. 예를 들어 고등학생에게는 서울장학재단 장학금 정보를, 청년층에는 청년월세, 청년문화패스, 청년이룸통장 등 다양한 청년 지원 정보를 제공한다. 중장년층은 50+재단의 일자리 정보와 교육 강좌를, 다자녀가정과 임산부에게는 다둥이카드, 꿈나래통장 등 복지서비스 정보를 전달한다.

간편한 회원가입과 강화된 보안

회원가입과 인증 절차도 QR코드 스캔만으로 가능해져 로그인과 서비스 인증이 한층 편리해진다.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서비스도 확장해 정보의 불법 위변조 방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중복 메뉴 통합으로 이용 편의성 및 비용 절감 기대

기존 두 앱의 중복 메뉴를 통합해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유지관리비와 본인인증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현재 서울시는 통합 앱 출시를 앞두고 기존 이용자의 데이터 이관 절차를 안전하게 진행 중이다.

기존 이용자 데이터 이관 및 시민 참여 이벤트

‘서울지갑’ 사용자는 간편번호 재설정만으로 통합 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서울시민카드’ 이용자는 올해 말까지 정보 이관에 동의하면 기존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서울시민카드는 12월 말 폐기 예정이므로 시민들의 동의 절차 이행이 필요하다.

또한, 7월 9일부터 25일까지 서울시 엠보팅을 통해 통합 앱 명칭 공모가 진행된다. 우수 제안자 100명에게는 커피 쿠폰이 제공될 예정이다.

다양한 연령층과 대상별 맞춤 서비스

  • 10대 학생: 고등학생 장학금, 대학생 장학금 등
  • 20~30대 청년: 청년월세, 청년이룸통장, 청년문화패스, 학자금대출 신용회복지원 등
  • 40대 이상 중장년층: 50+재단 일자리 정보, 교육 강좌
  • 특정 대상: 경력 단절 여성 지원, 다둥이행복카드, 임산부카드, 꿈나래통장 등

서울시는 이번 통합 앱을 통해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 앱 출범, 시민 편의 대폭 향상
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 앱 출범, 시민 편의 대폭 향상
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 앱 출범, 시민 편의 대폭 향상 | 서울진 : https://seoulzine.com/7398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서울진 © seoul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