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커리언스, 대학생 실무경험 혁신
Last Updated :

서울시, 대학생 실무역량 강화 위한 ‘서울 영커리언스’ 출범
서울시는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무 역량 강화와 진로 탐색 지원 프로그램인 ‘서울 영커리언스’를 새롭게 선보인다. 이 프로그램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되는 제3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핵심 사업으로, 19일 공식 발표되었다.
기존 청년 일자리 정책이 미취업 청년의 훈련과 생계 지원에 집중해 왔던 것과 달리, 서울 영커리언스는 재학생 중심으로 전환하여 청년들의 사회 진입 기간을 단축하고 성장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기업이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와 청년들의 실무 경험 부족 간의 간극을 해소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5단계 체계로 설계된 ‘서울 영커리언스’ 프로그램
‘서울 영커리언스’는 ‘영(young)’, ‘커리어(career)’, ‘경험(experience)’의 합성어로, 대학 재학생들이 재학 중 진로 탐색과 실무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내년 6,000명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1만 6,0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캠프 (1단계): 대학교 1~2학년 및 비진학 청년을 대상으로 AI 역량검사와 현직자 멘토링을 통해 진로와 직무를 탐색하고, ‘커리어 로드맵’을 작성하여 취업 준비를 체계적으로 설계한다.
- 챌린지 (2단계): 대학교 2~3학년을 대상으로 캠프에서 탐색한 진로와 직무를 실제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경험하며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
- 인턴십 I·II (3~4단계): 기업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경험하는 단계로, 학점 인정이 가능한 ‘현장실습 학기제’로 운영되어 학업과 경력 형성을 병행할 수 있다.
- 점프업 (5단계): 졸업 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청년취업사관학교와 미래 청년 일자리 사업을 통해 유망 직무 분야와 대기업, 스타트업에서의 일 경험을 제공하며 AI 개발자, 디지털 전환 등 최신 트렌드에 맞춘 취업 역량 교육을 실시한다.
운영 계획과 협력 체계
서울시는 12월 중 3,500개 기업과 13개 공공기관을 기반으로 인턴십 II 참여 기업 모집을 시작하며, 내년 봄학기부터 본격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 20개교와 수도권 11개교 등 총 31개 대학과 MOU를 체결하고 대학협의체 구성을 완료했다. 또한, 캠프와 챌린지 단계는 2026년 봄부터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서울 영커리언스는 청년들이 재학 중 실무 경험을 쌓고, 졸업 후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서울 영커리언스, 대학생 실무경험 혁신 | 서울진 : https://seoulzine.com/7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