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세계 창업도시 8위 쾌거

Last Updated :
서울, 세계 창업도시 8위 쾌거

서울, 세계 창업도시 8위 쾌거

서울이 전 세계 창업하기 좋은 도시 중 8위에 선정되며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9위에서 한 단계 상승한 이번 결과는 서울 창업생태계의 경쟁력과 성장세를 다시 한번 입증하는 성과다.

미국의 글로벌 창업생태계 평가기관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이 발표한 ‘글로벌 창업생태계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서울은 전 세계 300개 도시를 대상으로 한 평가에서 8위에 올랐다. 이 보고서는 2022년 7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약 2년 6개월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식축적, 자금조달, 생태계 활동성, 시장 진출, 창의 경험 및 인재 양성, AI 중심 전환 등 6개 항목을 평가해 순위를 매긴다.

서울은 2022년 처음으로 글로벌 창업도시 톱10에 진입한 이후, 2023년에는 12위로 잠시 하락했으나 지난해 9위로 반등했고, 올해는 8위로 역대 최고 순위를 경신했다. 특히 아시아 대표 창업 도시인 싱가포르(9위)와 도쿄(11위)를 제치고 선두권에 자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글로벌 톱10 창업생태계 순위는 1위 실리콘밸리(미국), 2위 뉴욕(미국), 3위 런던(영국), 4위 텔아비브(이스라엘), 공동 5위 보스턴(미국)과 베이징(중국), 7위 LA(미국) 순이다. 아시아에서는 베이징이 5위, 서울이 8위, 싱가포르 9위, 상하이 10위, 도쿄 11위를 기록했다.

서울은 평가 항목 중 지식축적과 자금조달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받았다. 지식축적 부문에서는 10점 만점에 10점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고, 자금조달 부문에서는 10점 만점에 10점 중 5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1위의 경쟁력을 보였다. 이 같은 성과는 서울시가 바이오, 인공지능, 창조산업 등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한 결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2005년부터 19년간 4,018개 연구 및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해왔으며, 최근 5년간 884개 과제에서 6,396억 원의 누적 매출과 5,957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2025년에도 AI, 바이오, 양자기술, 로봇, 핀테크, 창조산업 등 6대 신성장 산업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기업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미래 혁신성장펀드’를 통해 1,538개 기업에 투자했으며, 2023년부터는 ‘서울 비전2030 펀드’를 조성해 2026년까지 유망 기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갈 예정이다.

스타트업 지놈은 서울의 창업생태계 순위 상승에 대해, 스케일업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대규모 자금 회수(exit)가 시장 진출 점수 상승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상위 40개 도시의 대규모 자금 회수 규모가 31% 감소한 반면, 서울은 4% 성장했다.

서울시는 바이오의료, 인공지능, 핀테크, 로봇, 창조산업 등 산업별 인프라를 확충하며 지속 가능한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 중이다. 또한, 서울창업허브 공덕, 마곡, 홍릉 바이오허브, 양재 AI허브 등 권역별 창업거점을 확대해 1만 6천 개 이상의 기업을 육성했다.

2023년 4월에는 스타트업 투자 전문시설인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를 개관했으며, 2030년까지 글로벌 창업시설인 ‘서울 유니콘 창업허브’ 조성 계획도 발표했다.

서울시는 대·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 기술협력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구축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202개 대·중견기업과 1,038개 스타트업이 참여했다. 이 기간 동안 투자유치 3,810건과 신규 고용 2,659명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도 활발하다. 베트남, 인도, 싱가포르 등 7개 글로벌 거점에서 현지 입주 공간과 시장 분석, 협력사 연계를 통한 해외 진출 지원을 제공하며, 올해는 미국, 독일 등 12개국으로 지원 국가를 확대해 300여 개 기업의 해외 엑셀러레이팅과 현지 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의 창업생태계 강세 산업 분야로는 AI·빅데이터 분석, 생명과학, 첨단 제조업 및 로봇 산업이 꼽혔다. 양재동에 위치한 ‘서울 AI 허브’ 메인센터는 AI 스타트업 입주 공간과 네트워킹, 전문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AI 산업 육성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지난해 4월 개관한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를 통해 글로벌 진출 관문 역할을 수행하며, 해외 유망 기관과 협력해 기술 연구와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로봇 분야는 스마트로봇존 개발과 실외 이동로봇 서비스 모델 개발을 추진하며, 2027년 착공 예정인 ‘서울로봇테크센터’ 조성도 계획 중이다.

서울, 세계 창업도시 8위 쾌거
서울, 세계 창업도시 8위 쾌거
서울, 세계 창업도시 8위 쾌거 | 서울진 : https://seoulzine.com/732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서울진 © seoul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