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한 통으로 택시 부르는 동행 온다콜택시 시범운영

디지털 소외계층 위한 전화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작
서울시가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 등 소외계층의 택시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전화 한 통으로 택시를 부를 수 있는 '동행 온다콜택시'를 시범 운영한다.
앱 대신 전화로 간편하게 택시 호출
지난해 서울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20~40대는 60% 이상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택시를 호출하는 반면, 60대 이상은 80%가 거리에서 택시를 직접 잡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스마트폰 앱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와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전화 기반 택시 호출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용 방법과 운영 시간
7월 7일부터 시작된 '동행 온다콜택시'는 오전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운영된다. 이용자는 콜센터(☎1855-0120)로 전화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알리면 된다. 콜센터 직원이 ㈜티머니모빌리티의 온다택시 웹배차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면, 승객 주변의 택시가 배차된다.
배차 정보 실시간 안내
배차가 확정되면 승객에게 차량 위치, 차량 번호, 기사 연락처 등의 배차 정보가 카카오톡 알림톡 또는 문자 메시지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택시 도착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협력과 지원 체계
이번 서비스는 ㈜티머니모빌리티와 법인 및 개인택시조합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티머니모빌리티는 콜택시 시스템 구축과 운영비용 전액을 부담하며, 택시사업자에게 운행 건당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택시조합은 운송사업자와 운수종사자에게 사업을 알리고 참여를 독려하는 역할을 맡는다.
기대 효과와 향후 계획
서울시 교통실장 여장권은 "스마트폰 앱 호출이 활성화되면서 거리에서 택시를 잡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디지털 기기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장 분위기
은평구 일대에서는 고령의 시민들이 전화 한 통으로 택시를 부르는 모습이 포착되며, 기존에 겪었던 택시 이용의 불편함이 크게 줄어든 분위기다. 콜센터 직원들은 친절하게 응대하며, 택시 기사들도 신속하게 배차 요청에 응답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