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캠페인 강화

Last Updated :
서울시,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캠페인 강화

서울시,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캠페인 강화

서울시는 시민들의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을 돕기 위해 시내 약국 5,500여 곳에 폐의약품 분리배출 안내 포스터와 QR 스티커를 배포한다. 이번 조치는 폐의약품 수거함 접근성을 높이고, 시민들이 손쉽게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에는 가정 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이나 복용 후 남은 약을 처리하기 위해 ‘스마트서울맵’ 누리집에서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서울시는 서울시 약사회와 협력하여 약국에 QR 스티커를 비치, 스마트폰 카메라로 스티커를 촬영하면 바로 ‘스마트서울맵’의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로 연결되도록 했다.

현재 서울시 내에는 총 1,771개의 폐의약품 수거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구청, 주민센터, 보건소 등 공공기관에 938개, 우체통 833개가 배치되어 있다. 동당 평균 4개의 수거함이 설치되어 있어 시민들은 서울 어디서든 10분 이내에 수거함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성동, 강북, 도봉, 노원, 서대문, 서초, 강남 7개 자치구 내 약국 1,720개소에서도 자체적으로 폐의약품을 수거하고 있다.

폐의약품을 부적절하게 배출할 경우, 약 성분이 토양과 하천으로 유입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동식물의 생식과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아가 인체 건강에도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절한 방법으로 분리배출해야 한다.

폐의약품 종류별 올바른 폐기 방법

  • 조제약, 알약, 캡슐: 포장 및 밀봉 상태 그대로 폐의약품 수거함에 배출
  • 물약, 시럽, 연고: 마개를 닫은 상태로 폐의약품 수거함에 배출
  • 건강기능식품(비타민, 오메가-3, 유산균제 등): 일반쓰레기로 배출
  • 우체통 이용 시: 밀봉 후 봉투에 ‘폐의약품’ 표시 후 배출 (단, 물약류는 우체통 이용 불가)

서울시의 폐의약품 수거량은 2024년 기준으로 지난해 241톤에 달하며, 2021년부터 매년 30% 이상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9월까지 수거량은 178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2.2% 증가했다.

시민들은 폐의약품 수거함 위치를 ‘스마트서울맵’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우체통을 통한 배출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시민들의 건강과 환경 보호를 위해 폐의약품 분리배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시,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캠페인 강화
서울시,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캠페인 강화
서울시,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캠페인 강화 | 서울진 : https://seoulzine.com/766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서울진 © seoul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