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5개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 공개

Last Updated :
서울 25개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 공개

서울 25개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 공개

서울신용보증재단이 2025년을 맞아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상권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2025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각 자치구의 상권 현황과 특성을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현장밀착 상권 분석 도입

특히 올해 처음 도입된 ‘현장밀착 상권 분석’은 단순 통계에 머무르지 않고, 현장 중심의 데이터 해석을 통해 실제 영업환경, 소비패턴, 유동인구 변화 등 생활권 단위의 상권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했다. 이를 위해 자치구별 주요 상권 현장을 직접 조사해 지역 인프라와 상인 의견을 반영했다.

상권은 앵커형, 잠재형, 주거형, 복합형, 일반형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각 상권의 특성과 발전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행정동별 기본현황 분석

보고서에는 각 행정동별 점포수, 개·폐업 수, 생존율 등 상권의 안정성을 진단하는 기초 데이터도 포함됐다. 이를 통해 각 행정동의 상권 특성과 정책적 우선순위를 구체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포구의 경우 용강동과 서교동 일대가 유동 인구와 매출액이 높은 ‘상권 성장의 중심축’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임대료 급등에 따른 상권 안정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서강동은 높은 임대료에도 매출이 정체된 ‘수익 악화형 상권’으로, 상인 역량 강화와 집객 요인 강화 정책이 제안됐다.

정책 활용을 위한 4분면 상권 분석 모델

서울신용보증재단은 고유의 ‘4분면 상권 분석 모델’을 적용해 상권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다각도로 평가했다. 이 모델은 상권 성장 관리, 점포 수 관리, 상권 쇠퇴 관리, 생존율 관리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해 상권의 성장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진단한다.

보고서 활용과 전망

‘2025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는 서울신용보증재단 누리집의 알림광장 내 발간자료에서 PDF 파일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상권별 성장과 쇠퇴를 정량화하고, 상권 유형별 차별화된 관리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자치구가 현장 중심의 정책을 설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 각 자치구의 상권 현황과 정책 방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이번 보고서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상권 안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 공개
서울 25개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 공개
서울 25개 자치구 상권 분석 보고서 공개 | 서울진 : https://seoulzine.com/774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서울진 © seoul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