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이용자 증가율, 지난해 14.5% 상승!
2023년 공공도서관 통계 현황
2023년 공공도서관의 수는 1271곳으로, 전년도에 비해 35곳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8%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이는 공공도서관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이용자 수는 2억 200만 명에 달하며 독서·문화프로그램 참가자는 2700만 명으로, 이는 2022년과 비교했을 때 각각 14.5%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통계는 공공도서관의 가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6일 한국도서관협회와 협력하여 이와 같은 전국 공공도서관의 통계조사를 발표했습니다.
공공도서관 수의 변화
2023년 공공도서관은 총 1271곳으로 전년 대비 35곳, 즉 2.8%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국 인구 대비 공공도서관의 접근성이 계속해서 향상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통계에 따르면, 전국 인구 대비 공공도서관 1곳당 봉사대상 인구는 4만 382명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경기 지역에서는 10곳이 새로 생겼고, 서울 지역에서는 8곳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수도권 지역의 도서관 확충이 두드러진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023년 공공도서관 수: 1271곳
- 이용자 수: 2억 200만 명
- 독서·문화프로그램 참가자: 2700만 명
- 전년 대비 증가률: 14.5%
- 1곳당 봉사대상 인구: 4만 382명
지역별 공공도서관 현황
지역 | 공공도서관 수 | 비고 |
경기 | 319개 | 가장 많은 수 |
서울 | 207개 | 두 번째로 많은 수 |
경남 | 79개 | 중위권 |
전남 | 74개 | 중위권 |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 지역이 319개로 가장 많은 공공도서관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서울은 207개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경남이 79개, 전남이 74개입니다. 수도권과 광역시는 여전히 공공도서관 확충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이용자 및 프로그램 통계
도서관 방문자 수는 1곳당 평균 15만 9137명으로 나타났고, 전년보다 11.9%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대출 도서 수는 1곳당 10만 9637권으로 2.0% 감소한 상황입니다. 독서·문화프로그램의 개수는 다소 줄어들어 1곳당 82건을 진행하였으나, 프로그램 참가자 수는 1곳당 2만 1280명으로 전년보다 4.6% 증가했습니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시설 및 서비스 개선으로 연결된 결과로, 이용자 수의 증가가 확인됩니다.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
2023년 공공도서관의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2.41권으로 1.3% 증가했으며, 그러나 1곳당 도서자료 수는 9만 7301권으로 1.9%가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전자자료 수는 1곳당 47만 8147점으로 전년 대비 601.1%가 증가하였습니다. 이것은 통계 조사 방식을 개선하여 구독형 전자자료를 포함한 새로운 전자자료 유형이 포함된 결과입니다. 또한 장애인용 자료 수는 1곳당 862점으로 11.7% 증가하여,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다양성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론 및 향후 계획
전국 공공도서관의 자료 및 시설, 인력, 예산, 이용현황, 취약계층 서비스 및 전자서비스 관련 자세한 조사 결과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www.libst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대금 문체부 지역문화정책관은 이번 통계조사를 통해 도서관 현안 파악과 정책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도 공공도서관의 활동 및 그 영향력을 신뢰성 있는 수치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드높이겠다는 의지를 전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2023년 공공도서관은 몇 곳인가요?
2023년 공공도서관은 총 1271곳으로 전년 대비 35곳, 2.8% 증가했습니다.
2022년 대비 공공도서관 이용자는 얼마나 증가했나요?
2022년 대비 공공도서관을 방문한 이용자는 2억 200만 명, 독서·문화프로그램 참가자는 2700만 명으로 총 14.5% 증가했습니다.
2023년 공공도서관의 1곳당 봉사대상 인구는 얼마인가요?
2023년 공공도서관의 공공도서관 1곳당 봉사대상 인구는 4만 382명으로, 꾸준히 개선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