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0개 대학과 함께하는 무료 구독대학 개설

서울시, 시민 맞춤형 평생교육 ‘구독대학’ 시범 운영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은 시민들이 원하는 대학 강의를 자유롭게 선택해 수강할 수 있는 새로운 평생교육 프로그램 ‘구독대학’을 시범 운영하며, 수강생을 선착순 모집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기존 직업훈련 중심의 대학 연계 프로그램과 달리 인문교양, 문화예술, AI·디지털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어 시민들의 지적 호기심과 자기계발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10개 주요 대학 참여, 15개 강좌 7월 중순부터 개설
이번 ‘구독대학’에는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성서대, 홍익대 등 서울시 내 10개 주요 대학이 참여한다. 총 15개 강좌가 7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개설되며, 각 강좌는 20~50명 규모로 각 대학의 강의실에서 교수진이 직접 강의한다.
캠퍼스 체험과 실습 병행, 깊이 있는 학습 기회 제공
수강생들은 평소 관심 있던 강의를 원하는 캠퍼스에서 수강하며, 각 대학의 고유한 분위기와 공간 자원을 체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세대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 교수와 함께 디지털 기술을 ‘반도체 뉴스’라는 키워드로 풀어내고, 홍익대는 미술·디자인 전공 교수와 함께 대표 작가들의 시선을 따라가며 실습을 병행하는 체험형 수업을 제공한다. 경희대는 한방 건강관리를 주제로 이론과 실습을 결합한 수업을 진행한다.
서울시민 대상 전액 무료, 7월부터 신청 가능
모든 강좌는 서울 시민(생활권자 포함)을 대상으로 전액 무료로 제공되며, 수강 신청은 7월부터 서울시평생학습포털 내 ‘서울시민대학→서울마이칼리지’ 메뉴에서 가능하다. 강의 일정은 대학별로 다르나 대부분 7월부터 11월 사이에 운영된다.
다양한 분야의 강좌 구성
- 건국대: 문학심리분석, 동아시아 고전
- 경희대: 한의학 임상특강, 한방 건강관리
- 고려대: 사르트르 문학, 조선 역사
- 서울대: 조선 후기 화가들
- 성균관대: 동양고전 철학, 예술인문학
- 연세대: 반도체 뉴스 이해하기
- 이화여대: 인문학 명저 읽기
- 중앙대: 디지털 네이티브와 부모 생활
- 홍익대: 미술과 현대 미술 이야기
- 한국성서대: 유대경전 ‘타나크’로 바라보는 현대 사회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 생태계 조성 기대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시민과 대학이 함께 만드는 평생학습 생태계를 조성하고, 향후 시민 제안형 강좌나 캠퍼스 체험 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